삼성전자 비즈니스 대표사이트 회원가입절차 변경 안내

안녕하세요. 삼성전자 비즈니스 대표사이트입니다.

사이트는 20년 10월 19일(월) 부터 회원가입절차를 변경합니다.

기존 회원님들은 회원탈퇴 후 재가입하시지 않고 아래 회원 전환 버튼을 클릭하셔서 아래 절차를 통해 신규 회원으로 전환됩니다.
- 이메일인증 > 약관동의

※ 스펙인 로그인 또는 신규 회원가입은 아래 메뉴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고객서비스 > 스펙인 > 스펙인 개요

감사합니다.

※ 약관 동의 오류 조치안내
신규 회원 전환 시 약관 동의 후 확인 클릭 시 동의가 되지 않는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캐시 삭제를 진행 후 홈페이지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1. 인터넷 브라우저 상단 도구 > 2. 인터넷 옵션 > 3. 검색기록 삭제 > 4. 쿠키 데이터 체크 > 5. 삭제

[구글 크롬]
1. 인터넷 브라우저 상단 도구 > 2. 설정 > 3.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 4. 삭제

스펙인 마일리지 회원가입절차 변경 안내

안녕하세요. 스펙인 마일리지입니다.

20년 10월 19일(월)부터 스펙인 회원가입 절차를 변경합니다.

스펙인 기존 회원님들은 회원탈퇴 후 재가입하시지 않고 아래 회원 전환 버튼을 클릭하셔서 아래 절차를 통해 신규 회원으로 전환됩니다.
- 이메일인증 > 약관동의

스펙인 문의사항 / 오류 발생시 아래 메일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e-mail : specin@samsung.com

감사합니다.

스펙인 마일리지 지급 지연

고객 여러분께 안내 드립니다.

현재 비즈니스 사이트 개편으로 인한 일부 시스템 재정비로 스펙인 마일리지 지급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사이트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회원가입

비밀번호 변경 안내

비밀번호를 사용한 지90일이 지났습니다.

고객님의 소중한 정보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현재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현재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새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현재 비밀번호와 동일한 비밀번호는 사용 불가능합니다.

이전 비밀번호와 동일한 비밀번호는 사용 불가능합니다.

영문, 숫자, 특수문자 조합으로 8~15 자리 이내로 입력해 주세요.

  • 3자 이상의 동일한 문자, 단순 반복 문자 불가
    (예 : 123, 432, abc)
  • 아이디와 동일한 연속 3자 이상 문자 포함 불가

새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90일 연장하기
본문 바로가기

최근 본 제품

검색 결과0

※ 최근 본 제품은 30일간 보관됩니다.

제품뉴스

삼성전자,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2’ 개최

2022-10-17

삼성전자가 12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콘 센터(Moscone Center)에서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Samsung Developer Conference, 이하 SDC) 2022’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2019년 이후 3년만에 오프라인으로 개최됐으며 온라인으로도 생중계 됐다. 지난해는 코비드(COVID)로 인해 온라인으로만 행사가 진행됐다.

SDC는 지난 2013년 처음으로 개최된 개발자들의 축제로, 매년 전세계 개발자·디자이너·콘텐츠 제작자·업계 관계자 등이 참가해 미래 기술에 대해 논의하고 교류하는 장이다.

삼성전자는 이날 콘퍼런스에서 다양한 기기의 직관적이고 유기적인 연결을 통해 사람들이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각종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캄 테크(Calm Technology)’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삼성전자 DX부문장 한종희 부회장은 기조연설에서 “전 세계의 창의적인 개발자들과 협력해 수많은 기기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캄 테크’ 시대에 성큼 다가가게 되어 큰 자부심을 느낀다”며 “삼성전자의 혁신 기술과 솔루션을 통해 세상이 더욱 밀접하게 연결되고 고객의 삶이 더욱 편리하고 스마트해 질 수 있도록 혁신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기조 연설에선 ▲사용자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공통 플랫폼과 혁신 서비스 ▲스마트 TV∙가전, 갤럭시 스마트폰을 통한 제품 경험 확대 ▲미래를 위한 연구개발(R&D)과 오픈 협력 방안 등이 전 세계 개발자들에게 소개됐으며, 무한한 가능성과 성장의 기회가 제시됐다.

 

□ 진화된 스마트싱스 플랫폼 통해 유기적인 통합 연결 경험 강화

삼성전자는 다양한 기기가 보다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상황과 의도에 맞게 맞춤화된 경험을 확장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스마트싱스’, ‘빅스비’, 삼성 녹스’ 등 다양한 혁신 기술과 플랫폼 강화 방안을 소개했다.

우선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를 통해 삼성의 제품과 서비스는 물론 300여개 브랜드의 다양한 기기까지 모두 연결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보다 통합된 경험이 소비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며 개발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했다.

특히 삼성전자는 지난 9월 베를린에서 개최된 IFA에서 본격적인 스마트싱스 대중화 원년을 선언한데 이어, 이번 SDC에서는 다양한 홈 시나리오(Home Scenario)와 30여개 파트너사의 전시를 통한 스마트싱스 에코시스템을 소개해 개발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싱스에 업계 최신 IoT 통신규격인 ‘매터(Matter)’를 적용해 파트너사를 지속 확대하고 있으며 수백만의 호환 기기들이 더 쉽게 연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 매터: 민간 표준 단체 CSA(Connectivity Standards Alliance)가 기기간 호환성 확대를 위해 제정한 IoT 표준기술

또한, 구글과 협력해 매터가 적용된 디바이스를 향후 ‘구글 홈(Google Home)’에서도 연동 가능하게 할 예정이다.

삼성전자의 대표적인 음성 지원 플랫폼인 ‘빅스비’는 ‘스마트싱스’와의 연계를 보다 더 강화하고, 디바이스 자체에 탑재된 AI 솔루션을 통해 개발자들에게 똑똑한 음성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삼성전자는 ‘빅스비 홈 스튜디오(Bixby Home Studio)’개발 툴(Tool)도 선보였다. 개발자들은 해당 개발 툴을 통해 보다 통합적인 음성 명령 체계가 구현되는 것을 확인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지 “TV에서 영화 보여줘”라고 말하면 스마트싱스에 연결된 TV, 사운드바, 조명 등 모든 기기들이 한번에 동시에 최적화 돼 작동되는 ‘스마트 홈(Smart Home)’ 경험을 빅스비 홈 스튜디오를 통해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11월부터 빅스비에 중남미 소비자들을 위한 ‘중남미 스페인어’도 지원할 예정이다.
※ 중남미 스페인어: 중남미에서 일상적으로 통용되는 ‘중남미 버전의 스페인어’. 공식 ‘스페인어’와 억양과 문법 등이 다소 상이함.

기존 빅스비는 공식 한국어, 영어, 프랑스어, 중국어, 스페인어 등 총 10개 언어를 지원해 왔다.

삼성전자는 더 많은 기기들과 네트워크가 융합되는 스마트 홈(Smart Home)의 보안 강화를 위해 새로운 보안 패러다임인 ‘삼성 녹스 매트릭스(Samsung Knox Matrix)’를 발표했다.

녹스 매트릭스는 연결된 기기들이 서로가 서로를 보호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연결된 모든 기기들이 하나의 커다란 생태계로 규정되고 기기와 네트워크가 통합적으로 보호된다.

※ 삼성 녹스 매트릭스(Samsung Knox Matrix)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2΄에서 공개한 녹스 매트릭스는 연결된 기기들이 서로가 서로를 보호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프라이빗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을 활용했으며, 사용자의 편리한 경험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3가지 특징이 있다.

– 연결된 환경에서 신뢰할 수 있는 기기 목록을 관리하고 상호 위협 모니터링을 통해 보안을 강화(Trust Chain)
– 신뢰 기기 간에 중요한 정보를 안전하게 공유하여 사용자의 로그인 과정 등을보다 편리하게 제공(Credential Sync)
– 다양한 OS를 대상으로 통합 보안 SDK를 제공, 또한 삼성 기기에 대한 통합 보안 표준을 지원(Cross Platform)

녹스 매트릭스 내 기기 중 외부 공격자가 하나의 제어 권한을 획득한 뒤 다른 기기들로 공격 확산을 시도하는 경우, 공격받은 기기는 녹스 매트릭스에서 즉시 차단된다. 사용자는 위협에 대해 알림을 받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삼성전자는 사용자가 직접 개인 정보와 프라이버시를 설정할 수 있는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대시보드(Security and privacy dashboard)’를 새롭게 공개했다.

대시보드는 현재의 보안 취약성을 스캔할 수 있고 업데이트를 권장하며 개인 정보와 보안을 최고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데이터 관리 옵션을 제공한다.

 

□ 더 나은 ‘보는 경험’을 위한 맞춤 서비스 제공

삼성전자는 이날 행사에서 보다 개인화된 ‘보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선도업체들과 협업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전 세계 24개국 4억 6천만대의 기기에 제공되고 있는 채널형 무료 비디오 서비스 ‘삼성 TV 플러스(Samsung TV Plus)’는 콘텐츠를 확대하고 편의성을 한 단계 진화시켰다.

뉴스 콘텐츠를 확대할 뿐 아니라 ‘라이언스게이트(Lionsgate)’, ‘바이스 미디어(Vice Media)’와 새로운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국내에서는 지난 연말 MBC와 SBS 지상파 채널, 올해 8월에는 MBC 플러스 채널이 추가되는 등 채널 파트너사가 지속 추가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삼성 TV 플러스의 다양한 콘텐츠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지난 8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했으며, 개발자들이 더욱 간편하게 삼성 TV 플러스를 통해 광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지난 10년 간 업계 최고 수준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있는 삼성 TV 타이젠 플랫폼도 지속 진화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엑스박스(Xbox), 엔비디아 지포스 나우(NVIDIA GeForce NOW)와 같은 주요 게임 업체와 협업해 ‘삼성 게이밍 허브(Samsung Gaming Hub)’ 서비스를 탑재하는 한편, AI 업스케일링, 멀티태스킹 등의 기능을 제공해 삼성 스마트TV를 통한 최고의 몰임감을 구현하는 게임 경험을 제공한다.

이 밖에도 니프티 게이트웨이(Nifty Gateway), 라콜렉션(Lacollection), 아트 토큰(Art Token), 클립드롭스(Klip Drops)와 협업해 NFT(Non-Fungible Token) 플랫폼을 탑재하고, 여러 사이니지에 동일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싱크플레이(Syncplay)’ 사례와 같이 B2B 고객들이 필요로 하는 여러 B2B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한다.

또한, 최고 화질의 HDR 10+ 콘텐츠를 TV 종류와 상관 없이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새로운 콘텐츠 전환 솔루션인 ‘솔트(SALT)’를 적용했다.

 

□ 갤럭시 모바일 기기의 최신 사용자 경험(UX) ‘One UI 5’ 공개

삼성전자는 사용자 개인에 최적화된 모바일 경험을 위해 맞춤 설정 기능을 강화하고 생산성과 개인 정보 보호 기능을 업그레이드 한 ‘One UI 5’를 새롭게 공개했다.

One UI 5는 ‘모드 및 루틴(Modes and Routines)’ 메뉴를 새롭게 추가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개인의 생활 패턴에 더욱 향상된 맞춤 설정 기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 모드’를 선택하면 달리기나 수영 등을 할 때 모든 알람이 차단되고 보다 운동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잠금 화면의 설정 기능도 향상되었다. 비디오를 월페이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잠금 화면에서 손쉽게 시계 및 알람 스타일까지 변경 가능하다.

또한, ‘다이나믹 잠금 화면(Dynamic Lockscreen)’ 기능을 활용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복수의 이미지를 갤러리에서 자유롭게 선택해 본인의 개성에 맞는 잠금 화면을 꾸밀 수 있다.

삼성전자는 ‘텍스트로 전화 받기(Bixby Text Call)’ 기능도 새롭게 선보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 있을 경우 발신자의 목소리가 수신자에게 문자로 변환돼 전송되며, 이를 보고 사용자가 문자로 답할 경우 빅스비가 대신해 상대방에게 목소리로 전달하는 기능이다.

삼성전자는 One UI 5를 통해 자신의 건강을 보다 쉽게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일일 건강 솔루션을 도입했다.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 ‘삼성 특화 헬스 SDK(Samsung Privileged Health Software Development Kit)’를 개발자들에게 공개하고 갤럭시 워치에 탑재되어 있는 ‘삼성 바이오 액티브 센서(BioActive Sensor)’를 활용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했다.

 

□ 전 세계 개발자들과 함께하는 미래를 위한 투자와 연구

삼성전자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지속적으로 혁신하고 노력하기 위한 미래 투자∙연구 로드맵을 개발자들에게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학계, 연구원, 개발자들이 로봇 조작에 있어 새로운 아이디어를 테스트하고 연구할 수 있도록 ‘로봇 팔(Arm)’을 조작할 수 있는 코드를 깃허브(Github)에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헬스 분야에서 갤럭시 워치5와 연계해 다양한 사용자 사례를 찾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심장 건강, 폐 건강, 스트레스, 혈압, 신경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계∙의료 기관과 협력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오픈 소스 솔루션 ‘삼성 헬스 스택(Samsung Health Stack)’을 공개해 학계와 의료기관에서 이를 활용해 건강 분야에 대한 연구를 보다 활성화 하고 개발을 촉진시킬 예정이다.

이번 행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공식 웹사이트(http://developer.samsung.com/sdc)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2'에서 기조연설하는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2'에서 기조연설하는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2'에서 기조연설하는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SDC22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2’에서 기조연설하는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2'에서 기조연설하는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2'에서 기조연설하는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2'에서 기조연설하는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2'에서 기조연설하는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2’에서 기조연설하는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2' 전시부스 현장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2' 전시부스 현장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2' 전시부스 현장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2’ 전시부스 현장
비즈니스 정보 열람/구독 신청

삼성전자 비즈니스의 최신 제품/솔루션, 이벤트 소식과
전문가 리포트, 비즈 트렌드 리포트, e-제안서, 기술자료 등
다양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해 드립니다.

신청하기
비즈니스 우수 파트너사 찾기

삼성전자의 우수 파트너사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더 보기

비즈니스 정보 본인 확인

  • 본 콘텐츠는 비즈니스 정보 열람/구독 신청에 동의하신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 비즈니스 정보 열람/구독 신청하신 분은 이메일 주소로 인증 후 열람 가능합니다.

이메일을 입력해 주세요.

  • 비즈니스 정보 열람/구독신청이 되어 있는 회원의 경우 로그인을 하시면 정보 열람이 가능합니다.
  • 비회원이거나 비즈니스 정보 열람/구독 신청을 하지 않으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신청해 주세요. 비즈니스 정보 열람/구독 신청하기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