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국내외 이니셔티브 활동과 산업계 차원의 협력, 대외 소통 활동 등을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력하며,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하고자 노력합니다.
삼성전자는 RE100(재생에너지 전환을 추진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에 가입하는 한편, 다양한 조달 수단을 통해 재생에너지를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사업장의 PPA(재생에너지 공급 계약) 확대를 위해 경쟁력 있는 신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제도 개선 활동을 전개하는 등 원활한 PPA 환경 조성을 위해 여러 이해관계자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삼성전자는 RE100 Advisory Committee 멤버로서 2년간(2024.03 - 2026.02) 이니셔티브의 전략 및 정책 제언 논의에 참여합니다.
삼성전자는 Climate Group, Global Wind Energy Council, World Resources Institute가 아시아 지역 내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한 전력망 탈탄소화의 가속화를 위해 2022년 공동으로 구축한 ACEC의 창립멤버로서, 글로벌 기업들과 함께 운영위원회, 전략자문그룹, 국가별 워킹그룹에 참여 중입니다.
특히 당사의 주요 제품 생산기지인 한국과 베트남의 재생에너지 환경 조성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녹색 프리미엄 제도의 신뢰성 제고를 위한 기업 간담회 참석 및 정책 개선안 제안 등 ACEC 멤버들과 함께 직∙간접적인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베트남에서는 재생에너지 PPA 제도 도입을 위해 베트남 대정부 건의 등 ACEC과의 공동 노력의 결과 2024년 7월 DPPA 시행령이 마련되었으며, 시행령 발표 이후에도 제도 활성화를 위해 이해관계자들과 지속 소통하고 있습니다. ACEC의 주요 대외 활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4.11 아태 풍력에너지 서밋 'Time 4 Action: Corporate Sourcing' 세션
2024.07 [입장문] 베트남 정부, 청정에너지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직접 전력 구매 계약을 허용하는 새로운 법령 승인
2024.06 한국의 재생에너지 미래를 위한 협력: 아시아 재생에너지 성장 포럼 인사이트
2024.06 베트남의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 DPPA 시행령 초안 협의 정부 세션 참여 인사이트
2024.06 아세안의 에너지 전환 가속화: 베트남에서 열린 MUFG NOW 인사이트
2024.03 베트남의 청정에너지 전환 가속화: ACEC/CEBA 청정에너지 파트너 대화 워크숍 하이라이트
2024.03 녹색 프리미엄 제도의 Technical Consultation 세션
2023.12 UNFCCC COP28 사이드이벤트
2023.11 Green Economy Forum 2023 재생에너지 세션
2023.09 제2회 한국 재생에너지 매칭포럼
삼성전자는 국내 기업 재생에너지의 확대와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목표로 하는 CoREi에 참여 중입니다. CoREi의 주요 대외 활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4.07 '재생에너지 24/7(실시간 매칭) 조달 개념과 현황' 세미나
2023.11 2023 Korea Leaders Summit '기업의 재생에너지 전환 방안' 세션
2023.03 '2030 국내 재생에너지 수요 전망보고서' 발간
2022.11 환경 실무그룹 재생에너지 조달 세션
2022.10 '기업 재생에너지 조달 가이드라인' 발간
삼성전자는 글로벌 무탄소에너지(CFE) 확산을 목적으로 하는 민관 협력체인 CF연합에 이사회 및 실무 워킹그룹 멤버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CF연합은 재생에너지, 수소,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 원자력 등 다양한 CFE 활용을 위한 국제 표준 및 인증 제도를 설계하고, CFE 활용을 확대함으로써 산업 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가속화하고자 합니다. CF연합의 주요 활동 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4.12 CF연합 국제회의 참석
2024.11 UNFCCC COP29 사이드 이벤트
2024.03 CFE 기술기준서 국내안 작성 참여
2023.12 UNFCCC COP28 사이드 이벤트
DS부문은 2022년부터 SCC(Semiconductor Climate Consortium)의 창립 멤버로 활동하며 반도체 산업의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환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SCC는 이사회와 5개 워킹 그룹 활동을 통하여 반도체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였습니다. 특히, Scope 3 워킹 그룹에서는 반도체 산업의 Scope 3 간접 배출량의 주요 항목인 '구매한 원자재 및 서비스'와 '판매된 제품의 사용 단계'의 배출량 산정방법론을 표준화하여 업계 특성을 반영한 가이드라인 수립을 주도하였습니다. 이 과정 속에서 DS부문은 국내외 다양한 소재사, 설비사, 반도체 제조사 및 고객사와 협력하여 업계 전반의 Scope 3 간접 배출량 관리 고도화를 추진하였고 공동 감축 기회를 발굴할 수 있도록 기여하였습니다.
2025.05 업계 Scope 3 - 제품사용단계 산정 방법론 수립
2025.01 'Overview of F-GHG and Nitrous Oxide Semiconductor Abatement Technologies' Scope 1 저감기술 백서 발간
2024.11 반도체 기업 경쟁력 강화와 한국 재생에너지 제도 개선을 위한 2차 세미나
2024.07 'Key Challenges and Potential Solutions for Expansion and Procurement of Low-Carbon Electricity in South Korea' 백서 발간
2024.06 반도체 기업 경쟁력 강화와 한국의 재생에너지 제도 개선을 위한 1차 세미나
2023.12 SCC-Energy Collaborative 론칭
2023.12 'Scope 3 Category 1 GHG Assessment' 백서 발간
2023.09 'Transparency, Ambition, and Collaboration' 백서 발간
삼성전자는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경제인협회,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등 다양한 협회 활동 및 상시 소통을 통해 탄소중립, 자원순환 관련 동향과 정부의 정책에 관하여 산업계 의견을 공유하고, 정책 건의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SEMICON 참여를 통해 반도체 업계 내 친환경 협력을 강화하고자 소통합니다.
2025.02 SEMICON Korea SCC Forum
2023.11 SEMICON Europa Shaping a Sustainable $1T Era
2023.02 SEMICON Korea Sustainability Forum
2022.11 SEMICON Europa Smart and Green Manufacturing Summit
삼성전자는 전자∙반도체 업계의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협력회사들과 꾸준히 소통합니다. 협력회사의 지속가능경영 역량 강화 및 온실가스 감축 추진을 위해 교육, 컨설팅 등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협성회 (삼성전자 협력회사 협의회) 대상 별도 교류회도 진행합니다.
2025.05 Samsung Supplier Sustainability Summit (일본)
2024.09 Samsung Supplier Sustainability Summit (미주/구주)
2024.09 '24년 하반기 협력사 대상 지속가능경영 세미나 (국내)
2024.06 2024년 DS부문 협성회 분과회의
2024.04 재생에너지 활용 가이드 교육 (국내)
2024.03 ESG 활동 우수 협력회사 포상
2023.09 온실가스 감축방법론 교육 (국내)
2023.08 정부지원사업 연계 온실가스 감축 컨설팅 진행
2023.07 2023년 DS부문 협성회 분과회의
2023.04 협성회 대상 ESG 혁신 교류회 실시 (월 1회)
2022.12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 가이드 교육 (2022년 국내, 2023년 해외)
삼성전자는 다양한 창구를 통해 ▲경제성 있고 안정적인 재생에너지 확보의 필요성과 ▲PPA 활성화, ▲재생에너지 공급 물량 확대, ▲정부의 제도∙정책적 지원 등 국내 RE100 이행 여건 개선 정책에 관한 의견을 전달해왔습니다.
특히 주요 생산국 중 하나인 베트남에서 재생에너지 PPA 제도 도입을 위해 총리실, 산업부(MoIT), 에너지 규제위원회(ERAV), 베트남전력공사(EVN) 등 주요 당국에 적극 건의한 결과 2024년 PPA 시행령이 마련되었으며, 제도 활성화를 위해 지속 소통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이외에도 혁신 기술을 활용한 기후변화 대응 활동을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 공유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에너지 효율화, 재생에너지 직접전력거래(PPA) 확대, 에너지 믹스 기술 개발 및 재생에너지 통합 솔루션 구현 등을 목적으로 여러 발전사, 연구원 등과 협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