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운영 > 수자원 보호 & 대기오염 최소화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

삼성전자는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태계 건강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추진합니다.

생물다양성 리스크 관리

DS부문은 국내 5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TNFD1)가 권장한 분석 도구인 ENCORE2), WWF-RFS3) 등을 적용해 기업 활동과 관련한 자연 영향과 의존성을 파악하고 생물다양성 리스크를 분석하였습니다. 분석 결과, 2개의 물리적 생물다양성 리스크가 중간 등급 이상으로 식별되었고 이에 대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 Task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자연 관련 재무정보 공개 태스크포스
  • Exploring Natural Capital Opportunities, Risks and Exposure, UNEP의 자연 영양 및 의존성 분석 도구
  • World Wildlife Fund for Nature Risk Filter Suite, 세계자연기금이 제공하는 생물다양성 리스크 평가 도구

물리적 생물다양성 리스트

(1) 생물다양성 저해 리스크(Pressures on Biodiversity)

  • 국내 전 사업장 : 중간 등급
  • 오염, 토지 이용, 산림 훼손, 외래종 4가지 하위 리스크 요인을 종합해 산정, 개발지에 위치한 사업장의 지리적 특성과 반도체 업종 특성에 따라 오염 요인 영향이 가장 큼

(2) 자연재해 영향 리스크(Regulating Services-Mitigating)

  • 기흥, 화성, 평택 사업장 : 중간 등급
  • 천안, 온양 사업장 : 높음 등급
  • 태풍·폭염 등 재해 리스크가 높은 서해안 개발지의 지리적 특성과 재해 영향이 낮은 업종 특성이 반영되며 중간/높음 리스크로 평가됨
한국 내 기흥·화성, 평택, 천안, 온양 사업장의 위치를 기준으로, 왼쪽은 생물다양성 저해 리스크 수준, 오른쪽은 자연재해 영향 리스크 수준을 지도 위에 색상 등급으로 나타낸 모습 한국 내 기흥·화성, 평택, 천안, 온양 사업장의 위치를 기준으로, 왼쪽은 생물다양성 저해 리스크 수준, 오른쪽은 자연재해 영향 리스크 수준을 지도 위에 색상 등급으로 나타낸 모습

사업장 인근 자연환경 현황 조사·분석

DS부문은 자연자본과 생물다양성의 원활한 관리·보전을 위해 사업장 인근 자연환경 현황을 정기적으로 조사합니다. 국내사업장 인근 2,010㎢ 범위를 대상으로 산림, 하천, 농지, 도시 등 다양한 유형의 생태계를 조사했고, 그 결과를 LEAP 방법론1)에 따라 공간 정보로 구축했습니다. 이를 활용해 TNFD 핵심지표2)(Core metrics)와 관련한 자연자본 요인 3가지, 생태계건강성, 보호지역(WDPA3)), 멸종위기종 및 교란·외래종의 현황을 분석하여 지도 형태로 시각화하였습니다. 이러한 조사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장 인근 생물 다양성 보전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활동을 추진 할 예정입니다.

  • TNFD의 자연 재무정보 공개 방법, Locate, Evaluate, Assess, Prepare 4단계 구성
  • TNFD가 제시한 핵심지표, 리스크 및 기회 관련 5개, 영향 및 의존도 관련 10개 지표
  • World Database on Protected Areas(WDPA), 국제 보호지역 정보 데이터베이스
  • 보호지역(WDPA)1)

    • 국내 전 사업장 중점 기준 반경 2km 내 보호지역 없음
    • 반경 5km 내 보호지역 면적 0.2~2.4%, 대부분 도시자연공원
    • 반경 10km 내 팔당호 및 상수원보호구역, 자연환경보호지역 등 포함
  • 건강성 우수생태계
    (비오톱 유형 평가 1등급)2)

    • 국내사업장 반경 5km 내 우수생태계 면적 6.6~20.3%, 온양사업장 20.3%, 천안 12.1%, 기흥∙화성 8.1%, 평택 6.6%
    • 화성사업장 부지 내 우수생태계 확인 (동학산, 보전·관리 중)
  • 멸종위기 야생생물3)

    • 조사 범위 내 하천, 하구, 갯벌 지역에서 높은 출현 빈도
    • 주요 확인 종: 수달(멸종 Ⅰ급), 삵(멸종 ⅠⅠ급), 황새(멸종 I급), 저어새(멸종 I급), 수원청개구리(멸종 I급), 금개구리(멸종 II급) 등
  • 생태계교란생물3)

    • 조사 범위 내 하천, 도심 공원에 높은 서식 빈도
    • 국내 사업장 반경 5km 내 환삼덩굴, 돼지풀, 배스, 황소개구리 등 확인, 화성사업장, 방류하천 등 부지 내외 제거 활동 중
  1. World Database on Protected Areas 내 한국보호지역(KDPA, 5부처 30개 유형)
  2. 환경부 도시 생태현황지도 작성 지침 내 생태 공간(비오톱) 평가 기준 적용
  3.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생태계교란 생물

사업장 인근 주요 멸종위기 야생동물

  • ▲ 수원 청개구리(멸종 Ⅰ급)

  • ▲ 큰기러기(멸종 Ⅱ급)

  • ▲ 황새(멸종 Ⅰ급)

방류 하천 생태계 보전

화성 원천리천-황구지

  • 어류 6과 18종 서식(피라미, 참붕어, 붕어, 모래무지 우점)
  • 저서동물 30과 44종 서식(수서곤충류 비율 높음)
  • 조류 55종 3,138개체 확인(흰목물떼새(멸종Ⅱ급), 큰기러기(멸종Ⅱ급) 출현 확인)
  • 포유류 10종 확인(황구지천 구간 수달(멸종Ⅰ급), 삵(멸종Ⅱ급) 서식)

기흥 오산천

  • 어류 7과 18종 서식(피라미, 몰개, 붕어, 배스)
  • 저서동물 41과 58종(수서곤충류 비율 높음)
  • 조류 58종 5,735개체 확인(큰기러기, 새매, 흰목물떼새 등 멸종위기종 5종 확인)
  • 포유류 8종 확인(수달(멸종Ⅰ급), 삵(멸종Ⅱ급) 서식)
  • 수달 유전자 조사 오산천 구간 5개체 서식 확인
  • 생태독성 물벼룩 급성 독성 시험법 결과 방류수 하천 영향 없음
     

평택 서정리천·진위천

  • 어류 7과 19종 서식(피라미, 붕어 우점)
  • 저서동물 37과 50종 서식(수서곤충 비율 높음)
  • 조류 47종(노랑부리저어새, 큰기러기, 큰고니, 황조롱이 등 법정보호종 4종 확인)
  • 포유류 9종(수달(멸종Ⅰ급), 삵(멸종Ⅱ급) 서식)
  • 생태독성 물벼룩 급성 독성 시험법 결과 방류수 하천 영향 없음

온양·천안 곡교천

  • 어류 7과 26종 서식(피라미, 붕어, 모래부지, 참붕어 우점)
  • 저서동물 29과 39종 서식(수서곤충 비율 높음)
  • 조류 38종 924개체 확인(흰목물떼새(멸종Ⅱ급), 황조롱이 확인)
  • 포유류 8종 확인(수달(멸종Ⅰ급), 삵(멸종Ⅱ급) 서식 확인)

생물다양성 증진 활동

DS부문은 생물다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노력합니다. SBTN1)의 AR3T2) 프레임워크에 따라 사업장의 조성·운영·관리 단계에서 자연 영향을 회피(Avoid), 저감 (Reduce)하는 방안을 검토·추진하고 있습니다. 주요 저감 방안으로 사업장 부지 내 녹지, 산림 등 자연공간을 조성한 결과, 환경부 토지피복지도를 통해 산정된 국내사업장의 자연공간 면적은 167만㎡입니다.

자연을 복원하고 재생(Restore & Regenerate)하는 활동도 적극적으로 추진합니다. 중국 시안에 위치한 SCS사업장은 2024년 부터 산시성 정부와 협력하여 위린시 일원에 삼성공공복지숲을 조성하고 있으며, 2026년까지 3개년에 걸쳐 연 20만㎡, 총 60만㎡의 숲을 조성할 계획으로 산림생태계 복원과 생물다양성 증진 뿐 아니라 탄소저감, 사막화 방지 효과도 예상됩니다. 국내사업장은 하천생태계 보전을 위한 1사 1하천 가꾸기 활동, 소황사구 해양생태계 보전 활동 등을 지속 추진 중이며, 향후에는 쿤밍-몬트리올GBF3)와 국가생물다양성전략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자연보전 전략을 수립·추진할 계획입니다.

  • Science Based Targets Network
  • AR3T: SBTN의 생물다양성 영향 저감 활동. Avoid(회피), Reduce(영향 저감), Restore & Regenerate(복원 및 재생), Transform(전환)의 순서로 권장됨
  •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지역사회 생태 보전 활동
업데이트2025.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