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운영 > 화학물질 관리

제품 내 우려물질 관리

부품과 원자재에 대한 철저한 사전검사 및 사후관리 체계를 운영합니다. 글로벌 환경기준을 반영한 ‘제품환경 관리물질 운영규칙’을 제정하고, 규제 물질과 폴리염화비닐(PVC), 브롬계 난연제 (BFRs), 베릴륨, 안티몬 등 잠재 위험 물질에 대해서 자발적으로 사용 저감 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합니다.

공급망 내 우려물질 관리

공급망 심사와 관리 체계를 철저히 운영해 협력회사들이 환경경영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습니다. 특히 제품·부품에 우려물질이 없도록 관리하기 위해 삼성전자에 제품·부품을 공급하는 모든 협력회사에 대해 에코파트너 인증 심사를 실시합니다.

에코파트너 인증 프로세스

  • 원재료

    • 정밀 분석 데이터
    • 원자재 성분표
      (MSDS)
  • 공급업체

    • 제품 환경 보증서
    • 정밀 분석 데이터
      (ICP/GMS 데이터)
    • 원자재 성분표
      (MSDS)
    • 승인을 위한 샘플
  • 삼성전자

    • 제출된 문서와 샘플을 검토
    • 환경관리시스템 평가
  • Eco-partner 인증

협력회사는 삼성전자에 원재료 업체에게 받은 데이터와 우려물질 정보를 증명하는 제품환경보증서 등을 제출하고 삼성전자는 ‘제품환경 관리물질 운영규칙’ 준수 여부와 협력회사 환경품질관리시스템을 심사해 인증자격을 부여하고, 인증을 취득한 협력회사에 한해 거래하고 있습니다.

에코라이프랩 운영

2004년부터 ‘환경분석랩’을 운영하여, EU RoHS*의 6대 규제 물질을 비롯해 매년 자체 분석이 가능한 잠재 리스크 물질의 수를 확대하고 모니터링해 제품에 우려물질이 포함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고 있습니다. 2020년부터는 환경분석랩을 ‘에코라이프랩’으로 확대 운영하고, 미생물을 분석할 수 있는 시험 챔버와 정밀 분석 장비를 추가 도입했습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가 사용환경에서 느낄 수 있는 제품 냄새의 발생 원인과 개선책을 찾는 것까지 연구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에코라이프랩은 한국인정기구(KOLAS)와 국제인증기관 TÜV 라인란드(TÜV Rheinland)로부터 인증을 취득해 물질 분석의 전문성과 공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 * EU RoHS: EU 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Directive
삼성전자 화학물질 관리 연혁
업데이트 2025.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