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 협력회사 근로환경·기후변화 대응관리

온실가스 감축

삼성전자는 공급망 차원의 기후변화 대응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DX부문은 거래액 상위 90%, DS부문은 거래액 5억 원 이상인 협력회사를 관리대상으로 선정하여 협력회사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관리하고 감축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배출량 산정 및 감축 관리

배출량 산정

삼성전자는 협력회사가 보다 쉽고 정확하게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도록 산정 툴을 제공하고 관련 교육을 지원했으며, 2025년부터는 자체 개발한 온실가스 관리 시스템을 통해 산정 대상 협력회사를 확대하고 배출량 관리 체계를 고도화 할 예정입니다.

또한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립 가이드를 제공하여 협력회사가 기후변화에 관심을 갖고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수립하고 개선활동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국내 182개사를 초청하여 탄소중립 개요, 배출량 산정방법에 대한 온실가스 관리 가이드라인 교육을 실시했으며, 2023년에는 해외 219개사 협력회사 대상으로 교육을 확대했습니다.

인센티브

삼성전자 DX부문은 협력회사 종합평가 기준에 온실가스 정보 공개와 감축 성과를 반영하고 있으며, 특히 감축 성과가 우수하고 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협력회사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DS부문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수립·재생에너지 사용 등 다양한 평가 기준을 통해 협력회사들에게 지속가능한 온실가스 관리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재생에너지 활용 지원

협력회사는 전력 사용으로 인해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반면, 재생에너지 공급 여건은 상대적으로 불리한 상황입니다. 당사는 협력회사의 재생에너지 전환을 확대하기 위해 교육, 정보 공유, 재생에너지 공급기업과의 협력 등 다양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대한상공회의소와 협업하여 재생에너지 제도 이해 및 활용 실무를 다룬 집합 교육을 실시하여 국내 57개 협력회사가 우선적으로 참여하였습니다.

또한, 국내의 우수한 재생에너지 공급기업을 선별하여 국내 및 베트남 소재 공장을 보유한 협력회사를 대상으로 태양광 발전사업에 대한 설명회를 실시하였으며,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협력회사는 계약을 검토 중입니다.

향후, 참여 수준과 감축 성과에 따라 글로벌 주요 생산거점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한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감축 교육 및 컨설팅

2023년에는 국내 협력회사를 대상으로 감축 전략 수립 및 주요 설비별 에너지 개선방안 등을 다룬 '온실가스 감축 방안'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향후 해당 교육은 정규 과정화하여 지속 운영 예정입니다. 또한, 전담조직을 구성하여 협력회사 대상 온실가스 관련 별도 컨설팅을 진행하는 등 지원활동을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부터 감축 목표 수립 및 넷제로 추진까지의 교육과정을 온라인으로 운영했습니다. 특히, DS부문은 2025년부터 1차 협력회사 뿐만 아니라 2,3차 협력회사까지 교육 대상을 확대하여 공급망 전반의 온실가스 배출 정보 가시화를 추진할 예정입니다.

정부 지원사업 연계

삼성전자는 협력회사의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 및 관련 기관과의 파트너십을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2023년 환경부와 지속가능경영 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래 협력회사의 배출량 저감 및 감축 설비 투자 지원을 위해 삼성전자의 지원과 더불어 정부지원사업을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2024년까지 환경부 등 다양한 정부부처에서 주관하는 지속가능경영 컨설팅 및 에너지 진단 사업에 71개 협력회사가 참여하여 온실가스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개선과제를 도출하였으며, 온실가스 저감, ICT 구축 등에 필요한 투자비용을 지원하는 스마트생태공장 구축 사업에는 2024년까지 6개사가 참여하였습니다.

이 외에도 삼성전자는 협력회사의 규모, 역량, 감축 현황 등 개별기업의 수준을 감안하여 적합한 사업 참여를 유도하고 감축과제 발굴 및 개선 이행을 독려하고 있습니다.

업데이트 2025.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