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제품 안전과 품질 확보를 위해 제품 안전, 통신규격, 전자파적합성(EMC,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평가 등의 규격시험 자격을 취득한 국제공인 시험소를 운영합니다. 또한 각국에서 새롭게 제정되는 규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설비 투자를 확대하고 기술력을 확보합니다.
특히 제품 소손 등 사고 발생 시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 제품과 부품에 이중 안전 설계를 적용하며, 고객이 비정상적인 방법이나 열악한 환경에서 사용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안전성 검증을 철저히 실시합니다. 또한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큰 배터리, 전원공급장치, 충전기 등의 주요 부품에 대해서는 안전성 집중 검사를 실시합니다.
삼성전자는 한국과 해외 임직원의 품질에 대한 이해와 제품 안전성에 대한 역량을 강화하고자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사 교육 기관인 CS 스쿨의 기술 역량별 양성 로드맵을 통해 제품 신뢰성, 결함 원인 분석(FTA, Fault Tree Analysis), 고장 유형 및 영향 분석(FMEA,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PL(Product Liability), 부품 소재의 안전성, 배터리/전원 안전성,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트리즈(TRIZ, Theory of Solving Inventive Problem) 등의 전문 과정을 개설하여 구성원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에 대한 기술력의 공신력 확보를 위해 미국품질협회의 국제품질기사(CQE, Certified Quality Engineer), 국제신뢰성기사(CRE, Certified Reliability Engineer), 미국화재폭발조사관(CFEI, Certified Fire and Explosion Investigator)의 교육과 자격을 취득하여 해당 기술의 보유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ISO9000 인증기업으로, 최고 수준의 품질 확보를 위해 모든 업무와 프로세스에 대하여 문서화된 표준을 적용하며, 삼성전자의 국내외 전 세계 제조사업장과 삼성전자에 부품을 생산/납품하는 협력사를 대상으로 품질 관련 상시 점검 및 보완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신제품 개발 시 고객 눈높이에 맞는 품질을 사전 확보하기 위해 고객만족 인증제도를 단계별로 운영합니다.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시스템을 활용하여 신제품 개발 계획 단계부터 과거 실패 사례 및 문제점을 관리하여 동일한 문제점이 재발하지 않도록 예방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기술과 기능에 대해 새로운 검증 기법으로 내구 신뢰성 및 실사용 테스트를 실시하여 고객 요구 품질을 달성해야만 생산이 승인됩니다.
특히, 2025년부터는 신제품에 대한 선행, 상품화, 양산 준비에 걸쳐 각 단계별로 전사 전담조직이 주도하는 3단계 게이팅(Gating) 체계를 구축하여 선행 단계에서 디자인 검토 및 선행 품질 승인제를 통해 신기술에 대한 잠재 리스크를 차단하고, 상품화 단계에서는 현물 분석과 핵심 모듈 협력사의 현장검증을 한층 강화했으며, 양산 단계에서는 공정과 출하의 목표 품질 달성도를 엄격히 평가하는 등 신제품의 완벽 품질 확보를 위한 품질보증 체계를 보강했습니다.
협력회사가 생산·납품하는 부품에 대해서는 SQCI(Supplier Quality Control Innovation) 제도를 통해 품질을 관리하여, 품질사고 및 유해물질 발생, 품질평가 등급 부진 등 부품품질에 문제가 발생하면 협력회사 품질경고체계에 기반하여 물량 조정, 거래 중지 등의 페널티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횟수 | 조치 |
---|---|
1 차 | 협력회사 품질 경고 처리 기준에 의해 경고장을 발송 |
2 차 | 해당 아이템에 대한 발주 차단을 최소 3개월 이상 실시 |
3 차 | 협력회사에 대한 거래중지를 최소 6개월 이상 실시 |
삼성전자는 불량품 예방 및 균일 품질 달성을 위해 모든 생산현장에 현장관리업무표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국내외 전 세계 제조사업장을 대상으로 자체 내부 점검을 매년 진행합니다. SQA(Samsung Electronics Quality Awards, 삼성전자품질대상) 제도를 통해 품질 수준과 보증체제를 평가하여 고객이 만족하는 품질의 제품이 균일하게 만들어지도록 관리합니다. 또한 예방 점검표 기재된 생산 설비 및 시설 점검 항목에 대해 매일 점검을 실시하고 그 결과는 품질 관리 시스템에 기록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신규 채용되는 사원 및 기존 작업자 중 직무가 변경되는 작업자를 대상으로 작업 표준 교육 및 숙지 정도를 평가하여 인증하는 직무인증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설비, 부품 등 생산라인 내 변경점 발생 시 조처할 수 있도록 사전 예방 관리 차원의 교육 훈련 또한 실시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신제품을 대상으로 고객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제품의 구현 및 검증을 위하여 성능, 신뢰성, 안전성 등을 개발단계별로 평가하고 모든 평가항목을 만족해야 시장에 제품을 출하하는 고객만족 인증제도를 운영합니다.
또한,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시장품질 관련 정보를 실시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는 QINGS(Quality Information Network of Global Samsung) 정보 시스템을 통해 제품 품질에 문제가 있을 경우 조기 경보, 제품 생산 중단 등 긴급 개선조치를 실시합니다.